어원

시치미

모르는 척 시치미 뚝 떼는 태도, 시치미는 속임수와 변명에 얽힌 우리말 관용어

-
개발자 부계정 1
    시치미

    ✨ 의미

    시치미는 잘 알고 있으면서도 아무렇지 않은 척, 자신과 무관한 척하는 태도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. 주로 시치미를 떼다라는 관용구로, 모른 척하거나 딴청을 부리는 상황을 표현할 때 쓴다.

    📌 어원

    시치미의 어원은 조선시대 매사냥에 쓰던 표식 깃에서 비롯됐다. 매의 다리에 붙이던 작은 표찰(시치미, 시침이)이 바로 그것인데, 이 표식을 떼어내면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게 되어 도둑이 매를 훔쳐도 들키지 않았다. 이런 일에서 유래해 시치미를 떼다자기와 상관없는 척, 발뺌하다는 뜻의 관용어로 굳어졌다.

    📮 참고

    시치미는 현대에도 일상 대화, 드라마, 뉴스 등에서 모르는 척하다, 딴소리하다, 책임 회피하다 등 다양한 상황에 두루 쓰인다. 속임수, 변명, 능청스러운 태도를 풍자적으로 나타내는 우리말 특유의 표현이다.

    © 2024. 1-blue All rights reserved